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엔 기타나 우쿠렐레 혹은 베이스도 가능하구요 타브악보로 표현할 수 있는 악기면 뭐든지 적용이 가능
기타 악보, 타브악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익힐 수 있는 7가지 연습방법과 순서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1. 먼저 각 마디의 리듬을 이해하기
    타브악보의 마디별로 리듬을 먼저 이해하고 타브악보의 숫자를 보며 기타로 천천히 시작해 속도를 올려 연습하는 방향으로 가야합니다


  2. 숫자만 외우지 않기
    타브악보의 숫자들은 결국 어떤 코드 안에서 나온것 입니다 숫자를 지판에서 외우려고만 하기보단 마디별로 숫자를 담고있는 코드가 무엇인지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 방법이 중요한 이유는 이렇게 연습했을때 확실히 더 오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현재 잡고있는 코드가 원키에서 몇도인지까지 익숙해지는게 최종 목표)


  3. 왼손 핑거링 번호를 콩나물 옆에 표시하기
    왼손 엄지부터 새끼손가락 까지 1~4 번호를 붙입니다
    혹시 악보에 음표가 있다면 그 옆에다가 이 음은 무슨 왼손의 몇번째 손가락으로 잡는지에 대한 번호를 적어놓으면
    효율적으로 핑거링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곡을 배우는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지게 됩니다.

     
  4. 막히는 부분만 반복하면서 연습하기
    타브악보를 보며 연습할때 처음부터 시작해서 쭉 이어가다가
    막히는 부분은 다시한번 막히며 지나가고
    다시 아는부분이 나오면 빨라진다던지 하는 연습은 비효율적입니다.
    막히는 마디가 있으면 거기만 반복적으로 연습하는게 좋습니다.



  5. 그 마디가 손에 익으면 그 앞이나 뒷 마디를 붙여가며 연습하기


  6. [verse], [Chorus] 등 곡의 파트별로 확장시켜 연습하기



  7. 이제 메트로놈 켜놓고 연습하기 (앱으로도 있고 구글에 메트로놈이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타브악보에 있는 숫자는 안보고도 악기로 연주할 수 있는 정도라고 가정하고

60% 속도에서 → 원곡의 속도를 지나 → 120% 까지
속도로 올려서 반복 연주가 가능하다면

완벽 마스터 하신겁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시간엔 코드진행에 대한 종류를 알아보고
여러분의 작곡이나 음악에 도움이 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 음악 작곡에 있어 코드 진행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모든 노래들은 고유한 코드 진행을 사용하여 작곡되어왔고, 앞으로도 그러한 다양성은 계속될 것입니다.
창의적인 곡을 작곡하기 위해서는 독특한 코드 진행을 개발해야 하지만,
이미 인기 있는 코드 진행을 모방하는 것은 작곡 스킬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코드 진행 몇 가지를 소개해보겠습니다.

<모든 코드는 C Major Key로 바꾸어 나열되었습니다.>

 

1. C - Am - F(Dm7) - G7 - C

말할 필요가 없는 진행입니다. 현대 가요에서 매우 많이 등장하는 진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F(Dm7) - G7 - Em(C) - Am

이 코드 진행은 5도권 진행을 지키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러운 진행입니다.

 

3. Am - Em - Dm(F) - G7

노래 중간에 많이 나오며, 분위기를 단조로 전환하는데 사용됩니다.

 

4. Em - Am - Dm - G7

이 코드 역시 5도권 진행입니다.

 

5. C - Em - F

보통 노래가 시작하는 부분에서 쓰이곤 합니다.

 

6. C(9) - Fm(6) or F6 - C(9) - Fm(6) or F(6)

발라드 노래 시작 파트에서 가끔 쓰이는 진행입니다. 메이저 코드와 마이너 코드가 반복되는 진행으로 상당히 독특한 느낌을 받습니다. 


7. Am - Dm - G7 - C - E7

단조 노래의 대표적인 진행이며, 5도권 진행입니다.

 

 

8. Am - G(7) - F - E7

이 코드 진행 역시 단조 노래의 진행에 쓰입니다.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9. Am - AmM7 - Am7 - (Am6) - F

드라마틱한 전환 부분에서 많이 쓰이는 진행입니다.

 

 

10. C - C7 - F - Fm or C - CM7(Em) - C7 - F

 

 

11. C - G - Am - Em - F - C - Dm - G7

캐논 코드진행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진행입니다. 수많은 히트곡을 만들어낸 마법의 코드진행이라고 불립니다. 5도씩 증가하는 코드 진행입니다.

 

 

12. C - C#dim - Dm7 - G7

C 와 Dm7사이에 패싱 디미니쉬가 쓰여서 경과구 혹은 서두부에 많이 쓰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중요한 진행이 있습니다. 바로,

Dm7 - G7 - CM7 진행입니다. 일명 2-5-1진행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많이 나오는 진행인 만큼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쓰이는 코드진행 메이져편 Major Key Chord Progressions in C Minor:

  1. I-IV-V-I:
    • In C major: C-F-G-C.
  2. I-vi-IV-V:
    • In C major: C-Am-F-G.
  3. I-IV-vi-V:
    • In C major: C-F-Am-G.
  4. I-IV-ii-V:
    • In C major: C-F-Dm-G.
  5. I-V-vi-iii-IV-I-IV-V:
    • In C major: C-G-Am-Em-F-C-F-G.
  6. IV-I-V-IV:
    • In C major: F-C-G-F.
  7. I-iii-vi-IV:
    • In C major: C-Em-Am-F.
  8. I-IV-iii-VI-ii-V-I:
    • In C major: C-F-Em-Am-Dm-G-C.
  9. I-IV-bVII-IV-I:
    • In C major: C-F-Bb-F-C.
  10. I-ii-IV-V:
    • In C major: C-Dm-F-G.








자주 쓰는 코드진행 마이너편 Minor Key Chord Progressions in C Minor:

  1. i-iv-V-i:
    • In C minor: Cm-Fm-G-Cm.
  2. i-iv-bVII-i:
    • In C minor: Cm-Fm-Bb-Cm.
  3. i-VI-III-VII:
    • In C minor: Cm-Ab-Eb-Bb.
  4. i-V-iv-i:
    • In C minor: Cm-Gm-Fm-Cm.
  5. i-bIII-bVI-bVII:
    • In C minor: Cm-Eb-Ab-Bb.
  6. i-bVI-bIII-bVII:
    • In C minor: Cm-Ab-Eb-Bb.
  7. i-bVII-bIII-bVI:
    • In C minor: Cm-Bb-Eb-Ab.
  8. i-iv-III-bVII:
    • In C minor: Cm-Fm-Eb-Bb.
  9. i-iv-VII-i:
    • In C minor: Cm-Fm-Bb-Cm.
  10. i-bVII-bVI-V:
    • In C minor: Cm-Bb-Ab-G.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기타나 우쿠렐레의 타브악보를 효율적으로 익히는 7가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우쿠스틱 블로그에서 다운받은 악보에는 줄 4개 + 숫자가 있습니다

이것을 기타 혹은 우쿠렐레의 타브악보라고 하는데요

 

타브악보를 효율적으로 연습하는 7가지 순서입니다

 

  1. 먼저 각 마디의 리듬을 이해하기
    타브악보의 각 마디별로 리듬을 먼저 이해한다


  2. 숫자만 외우지 않기
    타브악보의 숫자들은 결국 어떤 코드의 구성음 입니다
    숫자를 지판에서 외우려고만 하기보단 마디별로 숫자를 담고있는 코드가 무엇인지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현재 코드가 원키에서 몇도인지까지 익숙해지는게 최종 목표)


  3. 왼손 핑거링 번호를 콩나물 옆에 표시하기
    왼손 엄지부터 새끼손가락 까지 1~5 번호를 붙입니다
    타브악보의 숫자 말고 악보 콩나물이 있다면 그 옆에다가 이 콩나물은 몇번째 손가락으로 잡는지에 대한 번호를 적어놉니다



  4. 막히는 부분만 안틀리고 연속 5번 성공할때까지 반복하면서 연습하기


  5. 그 마디가 손에 익으면 그 앞이나 뒷 마디를 붙여가며 연습하기


  6. 곡의 파트별로 확장시켜 연습
    먼저 Verse, Chorus, Bridge, INST, 등등 파트를 나누어 연습하고 익숙해지면
    마디를 확장시켜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해보기

 

7. 이제 매트로놈 사용하기 

60% 속도에서 → 원곡의 속도를 지나 → 120% 속도로 올려서 반복 연주가 가능하다면

완벽 마스터 하신겁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왼손이 담당하고 있는 코드를 잡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제가 생각하는 기본 코드는

C키의 다이아토닉 코드를 (C, Dm, Em, F, G7, Am, Bdim)

각자 코드별로 개방현을 최대한 사용해서 잡는 것인데요 (개방현은 아무것도 잡지 않은 상태의 줄을 치는 것)

코드를 배울때 효율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1.초보라면

C키의 다이아토닉 순서대로 코드를 먼저 배우고

정말 간단한 리듬을 치며 박자에 맞게 코드를 바꾸는 연습을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코드를 익힐때 잡은 코드의 구성음(루트,3,5 등)이 어디 있는지 알면 나중에 더 편해집니다

 

2.초보가 아니라면

다양한 코드진행

-(4,5,6)

-(1-5-6-3-4-1-2-5) 등등

진행을 정해놓고 키를 올려가며 연습하는것이 좋습니다

 

 

코드진행에 대해선 나중에 따로 더 깊이 다뤄볼게요

우선은 위 방법대로 코드를 막힘 없이 바꾸는게 첫번째 목표입니다.

코드를 편하게 바꿀 수 있게 되었다면 노래를 연주해야겠죠?

그 전에 오른손이 충분히 받쳐주지 않으면 다시 기타가 지루해질수도 있을거에요

 

다음 시간에는 오른손이 하는 일인

리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